자산을 현금으로 전환할 수 있는 정도를 나타내는 경제학 용어. 기업의 자산을 필요한 시기에 손실 없이 화폐로 바꿀 수 있는 안전성의 정도를 나타내는 경제학 용어이다. 예를 들어 개인이 재산 증식을 목적으로 투자 대상을 선택할 때 그 대상을 자신이 원하는 시기에 바로 현금으로 전환할 수 있는지를 따지는데, 이 현금으로 전환할 수 있는 정도를 유동성이라 한다. 흔히 유동성이라 하면 자산의 유동성과 경제주체의 유동성을 말하는데, 자산의 유동성은 다시 화폐의 유동성과 화폐를 제외한 자산의 유동성으로 나뉜다. 화폐의 유동성은 화폐가 다른 재화나 서비스로 전환되는 것을 말한다. 화폐는 사회에서 통용되는 일반적인 교환 수단이며, 가장 구매력이 강하므로 유동성 또한 가장 높다. 따라서 모든 유동성은 화폐의 유동성을 기초로 하여 이루어지며, 유동성이라는 개념을 화폐와 동의어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화폐 이외의 자산은 일단 화폐로 전환된 뒤 다른 재화나 서비스로 전환되며, 이를 일반적으로 자산의 유동성이라고 한다. 자산의 유동성은 전환되는 자산의 양과 질, 전환을 위한 시장의 형성, 거래 방법, 재금융의 가능성 등에 따라 유동성의 정도가 달라진다. 한편 가계·기업·정부 등 각 경제주체가 채무를 충당할 수 있는 능력을 경제주체의 유동성이라 하는데, 기존채무의 내용이나 자산의 유동성, 차입능력에 따라 각 경제주체의 소비와 투자 등 경제활동의 수준을 결정하는 중요 요인이 된다. 기업의 유동성은, 넓은 뜻으로는 기업이 화폐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정도를 말하며, 좁은 뜻으로는 채무지불이나 변제시기에 맞추어 현금을 비롯한 자금을 동원할 수 있는 정도를 말한다. 기업의 유동성이 문제가 되는 것은 유동성이 지나치게 높으면 결국 자본을 유용하게 활용하지 못함으로써 기업의 수익성을 떨어뜨리고, 유동성이 충분하지 못하면 경영 과정에 큰 장애를 가져와 지급불능이나 파산단계에 이르기 쉽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업의 유동성은 항상 시장 상황에 맞게 유지해야 한다.
|